22일 기후위기비상행동과 탈핵시민행동 등 시민사회연대체들이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의 핵발전 관련 발언을 비판하고 있다. 기후위기비상행동·탈핵시민행동 제공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정책을 짜야 한다던 민주당은 어디로 갔는가.”
기후위기비상행동 등 시민사회단체들이 22일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의 ‘원전 수명 연장’ 등 에너지 정책 구상을 비판했다. 이 후보는 AI(인공지능) 산업의 전력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노후 핵발전소 수명연장 등 핵발전을 포함한 에너지 믹스를 논의하고 있다고 밝힌 상태다.
시민사회는 이
적립식펀드가입 후보의 원전 회귀 등 에너지 정책 ‘우클릭’ 행보를 우려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은 고사하고 2022년 대선 당시 이 후보가 내세운 ‘감원전’ 기조마저 폐기했다는 것이다. 시민사회연대체는 “사실상 ‘안전한 수명연장’이라는 말로 윤석열의 핵폭주 정책을 계승하는 것”라고 지적했다.
최경숙 탈핵시민행동 집행위원장은 “2023년 광장
ELW온라인교육 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투기를 반대하던 민주당의 모습을 기억한다”며 “일본의 무책임한 방류를 비판하려면 우리부터 원전 중심의 에너지 정책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황인철 기후위기비상행동 집행위원장은 “경제성장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원전을 유지, 확대하는 것은 명백히 잘못된 선택”이라며 “새로운 대통령이 누가되건 잘못된 길을 가는
하이닉스주가 것은 다른 세상을 만들려던 광장의 민심을 저버리는 것”이라고 했다.
이영경 탈핵시민행동 집행위원은 “윤석열 핵폭주를 비판하고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정책을 짜야 한다던 민주당은 어디로 갔느냐”며 “민주당은 윤석열과 무엇이 다른지 정확히 답하라”고 말했다.
시민사회는 탈핵에 대한 민주당의 명확한 입장 표명을 촉구했다. 최
대창메탈 주식 태량 천주교창조보전연대 사무국장은 “한국의 핵발전 정책은 폐쇄성과 비윤리성, 참여 배제로 인해 단 한번도 민주적으로 운영된 적 없다”며 “민주당과 대통령 후보들은 핵발전에 대해 침묵하거나 피해서는 안된다”고 했다.
한편 이 후보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자신의 SNS에 기후환경 정책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2040년까지 석탄 발전을 폐
증권분석 쇄하고 전기차 보급 확대로 미세먼지를 획기적으로 줄이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고, 2035년 이후의 감축 로드맵도 빠르게 재정립하겠다”며 “국가차원의 탈플라스틱 로드맵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이 후보는 이날 원전과 재생에너지 발전에 대한 구상은 밝히지 않았다.
반기웅 기자 ban@kyunghyang.com